
작년 청년취업자는 19만 명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노년층 3명 중 1명꼴로 취업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23일 '2023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등록취업자는 청년층 829만3000명, 중장년층(40~64세) 1364만9000명, 노년층 312만2000명이었다.
특히 노년층 일자리 증가폭이 눈에 띈다. 전년(2022년)과 비교해, 청년층과 중장년층에서는 각각 19만명과 7만8000명 감소했지만, 노년층에서 25만5000명 증가했다.
인구 대비 취업자 비중도 청년층(56.9→56.7%)과 중장년층(67.9→67.6%) 모두 줄었지만, 노년층(31.7→32.9%)은 늘었다. 노년층 전체 인구 증가보다 취업자가 더 빠르게 늘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노년층 취업자 비중이 3명 중 1명꼴로 불어났다. 특히 자영업자를 비롯한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60대 후반에서 2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 경제 상황을 보면, 중장년층은 지난해 연간 4259만원의 소득(근로+사업)을 얻었다. 전년의 4084만원보다 4.3%(175만원) 많다. 40대 후반(4786만원)과 50대 초반(4668만원)의 소득이 가장 높았다.
청년층은 2781만원에서 2950만원으로 169만원(6.1%), 노년층은 1771만원에서 1846만원으로 75만원(4.3%) 각각 소득이 늘었다.
주택을 보유한 중장년층은 906만명으로 중장년층 전체의 44.9%였다. 청년층에서는 주택보유 비율이 11.5%(168만4천명)에 불과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청년층의 주택소유 비중은 0.3%포인트 줄고, 중장년층의 비중은 0.6%포인트 늘었다.
한편 연령대별 평균 가구원 수는 청년 가구 1.80명, 중장년 가구 2.56명, 노년 가구 1.88명으로 1·2인 가구가 대세였다.
청년층에서 1인 가구는 56.9%에 달해 절반을 넘었고, 2인(19.2%)까지 더하면 4명 중 3명 꼴로 1·2인 가구로 살고 있었다. 반면 중장년 가구와 노년 가구는 2인 가구 비중이 각각 25.6%, 43.5%로 가장 높았다.
또 중장년층에서는 1인(25.1%), 2인(25.6%), 3인(24.0%), 4인 이상(25.3%) 가구 비중이 비슷한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