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기초능력(Foundation Competency)의 개념 [김진실의 NCS카페](78)
상태바
직업기초능력(Foundation Competency)의 개념 [김진실의 NCS카페](78)
  • 뉴스앤잡
  • 승인 2023.09.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점(basic skill, core skill, career competency 등)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국가 차원에서 활용되는 직업기초능력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능력으로 영어로는 Foundational Common Competency를 의미한다.

호주는 Employability Skills Framework(이하 ESF)의 Employability Skills는 고용되기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산업체의 전략적 방향을 따라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skills)로서 정의되며, 의사소통, 팀워크, 문제해결, 진취성, 계획 및 조직, 자기관리, 학습, 과학 기술로 구성된다. 영국의 직업기초능력(key skills)을 일상생활, 직업생활 및 교육훈련에서의 광범위한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공통적인 기술로 정의하고 영어, 수학, ICT로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미국은 직업세계의 구성원들이 전 세계적인 수준에 부합해야 한다는 인식 하에서 산업발전을 위해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산업체 중심으로 파악하여 이를 교육과 연계시킴으로써 학생들이 그러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점에서 자원활용, 대인관계, 정보, 시스템, 기술의 직무능력과 기초, 사고력, 개인적 자질의 기본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관련 연구는 다양하나, 국내 채용시장과 교육훈련 등에 활용되는 직업기초능력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2023).

먼저, 의사소통능력이다. 즉, 직업인이 직장생활에서 우리말로 된 문서를 제대로 읽고 작성할 있는 문서이해능력과 문서작성능력,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의미를 파악하는 경청능력,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의사표현능력, 최근 국제화에 따라 이제는 간단한 외국어 자료를 읽거나 외국인의 간단한 의사표시를 하는 기초외국어능력이다.

둘째, 수리능력이다. 즉, 직장생활에서 요구되는 사칙연산과 기초적인 통계를 이해하는 기초통계능력, 도표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도표를 이용해서 결과를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도표분석 및 도표작성능력이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이다. 즉,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문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창조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통하여 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절히 해결하는 사고력과 직장생활에서 발생한 문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며 적절한 대안을 선택, 적용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피드백 하는 문제처리능력이다.

넷째, 자기개발능력이다. 즉,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흥미, 적성, 특성 등을 이해하고 자기 정체감을 확고히 하는 능력인 자아인식능력, 자신의 행동 및 업무 수행을 통제하고 관리하며 합리적이고 균형적으로 조정하는 자기관리능력, 자신의 진로에 대한 단계적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성취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 나가는 경력개발능력이다.

다섯째, 자원관리능력이다. 즉, 직장생활에서 시간, 예산, 물적자원,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계획대로 업무 수행에 이를 할당하는 능력으로,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다.

여섯째, 대인관계능력이다. 즉, 직장생활에서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조직구성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조직내부 및 외부의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능력인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이다.

일곱째, 정보능력이다.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적인 컴퓨터를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 활용하는 컴퓨터활용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이다.

여덟째, 기술능력이다. 즉, 직업인으로서 일상적인 직장 생활에 요구되는 수단, 도구, 조작 등에 관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기술을 선택하며, 적용하는 능력인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이다.

아홉째, 조직이해능력이다. 즉, 직업인으로서 직장 생활에 필요한 조직의 경영 목표와 경영방법을 이해하는 경영이해능력, 조직의 구조와 목적, 규칙, 규정 등을 이해하는 체제이해능력, 업무의 성격과 내용을 알고 필요한 지식, 기술, 행동을 확인하는 업무이해능력,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국제적인 동향을 이해하는 국제감각이다.

열 번째, 직업윤리이다. 즉, 일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근면하고 성실하고 정직하게 업무에 임하는 자세인 근로윤리, 인간 존중을 바탕으로 봉사하며, 책임 있고, 규칙을 준수하고, 예의바른 태도로 업무에 임하는 자세인 공동체윤리다.

이와 같은 10개 영역, 34개 하위능력은 2023년 “직업기초능력 개편 방안 연구”를 통해서 영역의 재설정 및 교육훈련, 자격 및 채용 등 인사관리 활용분야별 방향을 제시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