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가 기업 연구·개발(R&D) 활동과 R&D 투자 계획, 연구 인력 채용 계획 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 3개 연구·개발(R&D) 지원 기관은 1천843개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기업 R&D 활동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1천843개 기업 중 80%가 코로나19로 인해 기업 R&D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군별로 연구개발서비스 기업은 87.7%, 기업부설연구소는 79.8%, 연구소기업은 73.6%가 코로나19가 기업 R&D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R&D 투자 계획을 축소할 전망이라고 밝힌 기업은 연구개발서비스기업이 85%, 기업부설연구소가 48%, 연구소기업이 68%였다.
연구인력 채용 계획을 축소할 전망이라고 밝힌 기업도 연구개발서비스기업이 63%, 기업부설연구소가 41%, 연구소기업이 71%였다.
고용유지지원금에 대해서는 재정이 열악한 연구개발서비스기업 171곳 중 49%가 이 제도를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4개사가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들 3개 R&D 지원 기관과 함께 20여개 기업과 온라인으로 기업 R&D 건의 사항을 논의했다.
기업들은 국가 R&D에 대한 정부 지원책으로 ▲ 현금 부담률 완화 ▲ 과제 기간 한시적 연장 ▲ 정부 R&D 사업 조기 착수 ▲ 연구 계획 변경 허용 ▲ 기술료 납부기간 연장 등을 요청했다.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는 연구개발서비스기업의 세제지원 확대와 간접비 인정률 인상 등을 건의했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출자·이전 기술의 사업화 지원, 국내외 마케팅 및 네트워킹 지원 등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