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기술과 도구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미처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인간 삶은 편리하고 풍족해졌다. 그 반면 인간의 욕구도 끊임없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현대인들은 조선시대의 왕족들이 누리는 것 이상으로 풍족한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아 보인다. 지금보다 더 많은 편리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가 넘쳐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 많은 것들을 탐하고 또 탐해도 부족함을 느끼도록 만드는 것이 자본주의의 시대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 변화를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와 산업혁명을 결합해보면 재밌는 결론이 도출된다. 생리적 욕구는 1차 산업혁명에 빗댈 수 있다. 1차 산업혁명의 경우 원시산업이라 주로 농업, 임업, 어업, 축산업 등을 지칭하기에 인간이 고민하던 먹을 것, 마실 것, 쉴 곳 등의 생리적 욕구를 해결하는 것으로 빗대어 말할 수 있다.
안전의 욕구는 2차 산업혁명에 빗댈 수 있다. 2차 산업혁명으로 식료품, 의류, 신발, 가전제품 등의 경공업과 기계, 철강, 조선, 건설, 자동차, 기관차 등의 중공업이 발달했기에 사람들의 안전과 육체적이고 감정적인 해로움으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를 해소할 수 있었다 .
소속의 욕구와 존경의 욕구 두 가지는 3차 산업혁명으로 빗댈 수 있다. 3차 산업혁명의 경우 주로 인간에게 제공하는 교통, 상업, 무역, 관광업, 통신, 금융, 미용, 영화, 방송 등의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부각하며 사람들이 무리로부터 소속되고 우정과 애정을 쌓으며 소속감을 느끼고 서로 교류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조금 더 나아가 스스로 하고자 하는 자율의지를 가지고 성취를 일구며 사회적으로 지위를 가지며 인정받고 존경받고자 하는 것이다.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 최고 단계인 자아실현의 욕구는 4차 산업혁명에 빗댈 수 있다. 요즘 청년들 대부분은 자신의 잠재 능력을 발휘해 성장하고, 자신이 되고자 하는 최고의 5단계에 이르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Z세대는 매슬로우의 욕구 5 단계 중 기본적으로는 3, 4단계 이상에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정받고 존경받고 싶어 하며 자신의 잠재 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하고 싶어 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이 온전하게 잘 발전해나간다면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도 실현되는 인류 최고의 축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이전 시대와 달라진 변화와 흐름읽기를 위해 스스로 노력해나가야 한다. ‘변화의 특징은 무엇인지, 변화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자신은 이런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지, 변화를 통해 성장한 기업은 어디인지, 변화에서 찾을 수 있는 기회는 무엇인지’ 늘고민하고 또 답변을 찾아가려는 노력이 미래를 대비하는 통찰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읽고 현명하게 대처하며 기회를 발굴해 성공한 사례를 언급해볼까 한다. 코로나19가 시작되던 2020년 상반기만 해도 마스크 공급량이 부족해 주 5일제로 마스크를 구매할 수밖에 없었던 시절이 있었다.
국민 모두가 이로 인해 불편함을 겪어야만 했지만 그 속에서도 기회를 찾아낸 사람들이 있었다.발빠르게 마스크를 생산하거나 유관한 사업으로 뛰어들어 성장한 기업들도 있었겠지만 그러한 경우는 평범한 사람들이 실제로 행하기에는 거리가 있기에 평범한 사례를 언급해보도록 하겠다.
한 청년사업가는 마스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스크 공장 여섯 곳을 견학했다. 그렇게 마스크 공장 담당자들의 생산 방식을 접하다보니 마스크 재질이나 원료, 용도가 모두 다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다 신기하게도 마스크에 연결한 네 개의 끈에 사용하는 본드가오공본드 회사의 특수 본드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남들이 미처 주목하지 못할 시기에 그 청년은 오공본드 기업을 분석했는데 그 결과 무조건 뜰 수밖에 없는 기업이라고 판단되어 그 기업에 투자하게 된다. 실제로 3,000원대에 머무르던 회사의 주가는 한때 네 배에 이르는 1만 4,000원대까지 치솟으며 이 청년사업가는 큰 이익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