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ESG 활동 요구 증가 [한광식의 ESG 바로알기](5)
상태바
정부의 ESG 활동 요구 증가 [한광식의 ESG 바로알기](5)
  • 뉴스앤잡
  • 승인 2024.11.15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광식 COLiVE 사무총장 / ESG 전문가<br>
한광식 COLiVE 사무총장 / ESG 전문가

ESG에 초점을 맞춰 기업이 지구와 사회에 대한 책임을 더 많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전 세계가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2006년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는 환경, 기업이 사람을 대하는 방식, 기업을 운영하는 방식 등을 고려하는 투자 원칙을 수립하여 ESG를 향한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 이후, 유럽은 은퇴 후 생활을 위해 돈을 저축하는 연기금을 시작으로 은행, 보험 회사, 많은 돈을 관리하는 자산운용회사들이 ESG 영역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 공유하도록 요청하기 시작했다. 영국은 2025년까지 주식을 주식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에게 ESG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모든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한국도 이와 같은 움직임에 동참하여 2019년부터 한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기업들은 ESG의 일부인 기업을 운영하는 의사결정구조(G) 측면에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2021년에는 우리나라도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업들이 의사결정구조뿐만 아니라 환경적, 사회적 노력에 대해서도 점차 공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국은 2030년까지 대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이 ESG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파리 협약이 있다. 전 세계 국가들은 지구의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낮은 수준인 1.5℃ 이내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했고, 5년마다 지구 온도가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어
떤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했는지 확인하기로 합의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이 0(NetZero)이 되어야 한다. 유럽 연합(EU)은 2050년까지 순 탄소 배출을 0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탄소국경세를 도입하여 2026년 1월부터 탄소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즉, 유럽 연합(EU)보다 지구에 해로운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다시 말해 탄소를 많이 배출한 국가의 제품이 유럽에서 판매되려면 유럽보다 많이 배출된 탄소의 양만큼 세금을 내야 하는 제도이다.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도 탄소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에게 탄소배출량을 작성하여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반하게 되면 1만 위안에서 3만 위
안의 벌금이 부과된다.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국경세가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도 탄소국경세 도입을 약속해 전 세계무역 흐름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