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취업자 10명 중 6명, 1년 이내 퇴사..고용 안정성 저하
상태바
신규 취업자 10명 중 6명, 1년 이내 퇴사..고용 안정성 저하
  • 권수연 기자
  • 승인 2024.11.04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규취업자 고용안정, 전체 노동자에 비해 부족”

새롭게 취업한 임금 노동자 중 1년 뒤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이 10명 중 4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사랑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이 3일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새롭게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노동자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2021년 기준 40.1%였다. 10명 중 6명은 취업한 지 1년 이내에 퇴사한 것이다.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지속 하락하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올랐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39.6%까지 감소했다가 2021년엔 40.1%로 다시 증가했다.

고용이 취약한 집단일수록 고용유지율도 낮았다.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남성 42.4%, 여성 37.9%였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46.0%로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이 34.0%로 가장 낮았다.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44.6%, 중학교 졸업 이하는 32.0%였다. 고용이 취약한 집단은 고용이 위축되는 시기에 고용유지율 감소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 안팎에서 증감을 거듭하는 1년 이상 고용유지율과 달리 임금 노동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증가 추세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보면 임금 노동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5.3년에서 2021년 5.9년, 지난해 6.2년으로 꾸준히 늘었다. 신규 취업자 수 감소로 전체 임금 노동자 중 신규 취업자 비중이 낮아져 평균 근속기간이 길어진 것이다.

보고서는 “1년 고용유지율 증가 추세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새롭게 취업한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밝혔다.

장 연구원은 "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을 펴야 한다"며 "고용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 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도 있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