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으로서의 직업역량 [유재천의 취준생 컴피턴시](15)
상태바
공무원으로서의 직업역량 [유재천의 취준생 컴피턴시](15)
  • 뉴스앤잡
  • 승인 2022.06.24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국가기관과 연구기관 혹은 컨설팅 펌에서 조직 성과 측면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공무원 역량

윤리의식: 대한민국 국민의 공복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윤리를 준수하고 이를 기준으로 행동하는 능력

협조성: 수행업무의 성과와 질을 높이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여 필요한 자기학습을 위해 노력하는 능력

고객(수혜자) 지향: 업무와 관련된 내외부의 대상 집단과 국민이 원하는 바를 이해하고, 업무수행 결과가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태도와 능력

전문가 의식: 수행업무 성과와 질을 높이고, 보다 높은 성과의 창출을 추구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활용하는 태도와 능력으로, 성취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을 포함하는 개념

경영 마인드: 사업하는 경영자가 성과를 추구하듯이 정책의 결과로 발생하는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실제 업무수행 과정에 서도 효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능력

정보 수집 및 관리: 담당 업무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적시에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분류하고 정리하는 능력

문제 인식 및 이해: 수집한 정보 및 연계를 통해 발생 또는 대비할 문제를 적시에 감지하고, 사안의 성격, 발생 원인, 제약조건, 파급효과를 이해하여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능력

자기 통제력: 적절한 일정 계획과 건강관리 등을 통해 과도한 업무량, 고난과 외압, 스트레스 등의 중압감을 이겨내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여 업무의 중심을 잃지 않는 능력

의사소통: 상대방의 상황 및 감정을 이해하고,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자신이 의도한 바를 문장이나 언변 등으로 명확하게 이해시키는 능력

목표 및 방향 제시: 소속 부처의 정책 방향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이 담 당하는 조직의 업무 방향을 부처의 정책 방향과 연계시키고, 이를 부하 직원이 수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솔선하는 능력

적응: 사업 및 정책의 변화에 맞추어 기존의 관행과 행동 패턴을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

전략적 사고: 장기적, 통합적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 목표를 수립해 자신이 담당하는 업무와 관련된 대안 구상과 실행 등을 부처의 전체 목표와 방향에 맞춰 생각하는 능력

지도와 육성: 부하 직원이 현재와 미래 행정력 발전의 자산임을 인식해 적절한 도전 기회와 환경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조언을 통해 체계적으로 부하 직원의 발전과 성장을 도모하는 능력

자원 및 조직관리: 관장하는 업무를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성과 창출 을 위해 경영수완을 발휘,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관리하는 능력

정책 집행 관리: 추진 일정을 수립, 업무를 배분하여 일정대로 집행하고, 예기치 못한 위기와 돌발상황 발생 시 대처하는 능력

정치적 기지: 업무수행 시 단순히 업무효율이나 효과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 즉 정치적 역학관계를 고려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해당 사업 혹은 정책에 필요한 자원 및 지지를 확보하는 능력

조직 통합력: 다양한 부서의 이해가 결집된 사안에 국가와 부처 전체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판단하고 균형 잡힌 해결책을 제시하는 능력

협상력: 대등한 혹은 불리한 입장에서도 사안의 조정과 양보를 통해 합리 적으로 합의점을 도출하여 상대방으로부터 동의와 협력을 획득하는 능력

 

(출처: 행정안전부, <과학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역량평가 매뉴얼>, 200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