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다보스 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된 제4차 산업혁명은 물질·소유·자원으로 대별되는 Off-line 현실과 정보·공유·관계로 대표되는 On-line 가상의 융합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웨어러블(Wearable),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과 같은 디지털화기술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Robot), 3D프린팅(Three Dimensional Printing), 증강가상현실(Virtual Reality), 블록체인 핀테크(Blockchain FinTech), 게임화, 플랫폼(Platform), 서비스디자인 등 아날로그화 기술의 융합 시대를 의미한다.
18세기 1차 산업혁명 후, 여러 차례 혁명적인 산업 변화가 이루어졌다. 최근의 변혁을 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이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이라 부르는 이유는 그 진전 속도, 미치는 영향의 범위, 시스템에 미치는 파급 효과 등이 이전의 변화와는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기술적 약진은 선형적, 점진적 방식이 아닌 기하급수적(Exponential)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나라, 모든 산업에 걸쳐 전 방위적으로 기존의 틀을 파괴하고 있다. 그 변화의 폭과 깊이는 생산, 관리시스템, 지배구조 전반의 변환을 이끄는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4차 산업혁명은 지능과 정보가 융합된 형태의 새로운 산업혁명이다. 사회, 문화, 경제, 교육 시스템은 접속과 경험이라는 커다란 화두 안에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지능적 기계화의 흐름 속에서 인간과 기계의 분업화가 필요하다. 도구에 관한 것은 기계에게 맡기고 인간은 본질적인 문제를 바라보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진로교육의 패러다임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암기력을 기반으로 하는 소유의 기술이 아닌, 접속과 활용의 능력을 길러야 한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토론, 협업, 의사소통, 감성, 예술성이라는 영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간과 기술의 융합,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융합으로 융합적 교육과 독서가 중요하다. 이러한 변화가 직업의 변화와 일자리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하는 것이 직업상담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