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한다고? [박강석의 직업사회학](3)
상태바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한다고? [박강석의 직업사회학](3)
  • 뉴스앤잡
  • 승인 2021.12.2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65~85년의 20년간 미국의 16세 이상 인구는 1억 2,900만 명에서 1억 8,000만 명으로 40%가 늘어났는데 같은 기간 취업자 수는 7,100만 명에서 1억 600만 명으로 50%가 늘었다. 이 인력을 고용한 3,500만개의 일자리 중 2,400만개가 뒤 10년간에 증가했다. 이는 특이한 일로 다른 어떤 나라에서도 일어나지 않았다.

1970~1984년까지 서유럽에서는 300~4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1970년대만 해도 서유럽의 일자리는 미국보다 2,000만개나 많았지만 1984년에 들어서는 오히려 1,000만개나 적었다. 일본의 경우도 1970~1982년까지의 12년간 일자리숫자는 10%가 증가하여 미국 증가율의 절반에 그쳤다.

미국의 모든 전문가들은 25년 전에 미국경제가 아무리 빨리 성장한다 해도 1940~50년 소위 베이비 붐 세대에 태어난 애들의 취업시기인 1970~1980년대에는 이 세대를 모두 고용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변수가 하나 더 있었는데 1970년대 중반이후 기혼 여성들이 대거 노동시장으로 진출했다는 점이다. 1970년대에는 5명중 1명이 취업자였는데 1980년대에 이르러 기혼여성의 절반이 취업을 한 것이다. 일자리가 부족하리라는 25년 전의 예상을 벗어나 훨씬 많은 일자리가 제공된 것이다. 더구나 미국은 1970년에 이후 경제성장률이 제로인 기간이었고 탈공업화의 기간이었던 것이다.

산업혁명이후 300년간은 기술체계에 의한 기술진보의 시대였다. 기술진보는 곧 마치 기계적 프로세스가 그런 것처럼 좀 더 빠른 속도, 좀 더 빠른 온도, 그리고 좀 더 높은 압력의 달성을 의미했다. 여태까지의 기술의 모델은 유기체의 외부 에너지 중심이었다면 제2차 세계대전 후부터는 유기체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프로세스 즉, 정보를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제2차 세계대전 후 경제성장을 주도해 온 산업인 자동차, 철강, 고무, 전기장치, 가전제품, 전화 그리고 석유산업은 이제 성숙산업으로 더 이상 진보가 어렵게 되었다. 컴퓨터와 통신, 사무자동화, 로봇, 생물공학, 인공지능 등의 하이테크 산업으로 대체되어 간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보면 경제성장이나 기업의 성장이 고용과는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내 30대 기업의 전체직원 수의 75%가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중에서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직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30%에 달한다.

30대 기업의 전체매출에서 두 회사가 차지하는 매출비중도 30% 수준이다. 그런데 2005년의 경우 이 두기업의 매출액 비중은 20%였고 약 10년 후인 2014년에는 10%가 증가한 30%였는데 직원 수의 비중은 10년 전이나 후나 그대로 30%를 유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직업사회의 변화가 예측한 대로 흘러가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아무리 부정적인 예측이 있었다하더라도 나름대로 적절한 대처가 있어 왔다는 점이다. 따라서 로봇에 의한 인간의 실업문제도 지나친 우려일 수도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