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먹거리 반도체, 업계는 인재가 고프다 [2022채용트렌드-반도체 인력⑳]
상태바
미래 먹거리 반도체, 업계는 인재가 고프다 [2022채용트렌드-반도체 인력⑳]
  • 박주현 기자
  • 승인 2022.07.14 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5월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삼성 반도체 공장에 방문하였다.

최근 반도체를 둘러싸고서 교육계에서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미래 첨단산업의 먹거리 중 하나로 반도체를 들며, 반도체 관련 인력의 양성을 위해 교육 패러다임 변경과 규제 개편 등 활발한 움직임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련 인력을 보충함에 있어서 넘어야 할 과제와 의견이 겹겹이 쌓여있는듯 하다.

지금부터 반도체 인력을 둘러싼 이야기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지방대 울리는 수도권 규제 완화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의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연간 3000여명 수준인데 반해 반도체학과 졸업생은 650여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반도체가 지닌 중요성에 비해 인력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반도체 기업들의 인력난은 심각하다.

정부는 수도권 대학의 입학정원 제한을 완화하여 반도체 관련 학과의 인원을 증설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과 인원증설 4대 기본요건(교사, 교지, 교원, 수익용기본재산) 중 교원만 충족한다면 학과 인원 증설을 허용하는 방안이 거론되었다. 

가르칠 인원만 확보되어 있다면 학과 인원 증설을 허용하고, 이를 통해 반도체 관련 인력을 충원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방대에서 정부의 이러한 결정에 반발하고 있다. 지난 8일 비수도권 7개 권역 127개 대학 총장들로 구성된 협의회가 수도권 학과정원 규제 완화에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에 치중된 발전 등으로 지방대학들의 존립조차 위태로운 상황에서 수도권 규제 완화는 정부가 내세웠던 '지방대 시대'와 완전히 상충된다는 것이 협의회의 의견이다.

또한 전배근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정책실장은 “현재 반도체 업계에서는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 수준과 입사 지원자들의 역량이 일치하지 않는 ‘미스매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말하며 단순히 관련 인력의 양적 확대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현장은 당장 인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당장 필요한 인력부터 충원해야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학과 인원을 늘린들 곧바로 숙련된 인재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기에, 업계의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빠른 결정과 시행이 필요함에도 관련 논의가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12일 진행된 국민의 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현장 간담회에서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업계의 퇴직 인력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10년 동안 13만 명의 인력을 추가로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매년 반도체 관련 학과 졸업인원은 1000여명에도 미치지 못해 고질적으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대부분의 인력이 대기업으로 유입되며 반도체 관련 중소기업으로서는 인력난이 더더욱 심각하게 다가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학과 인원 증설 이외에도 기자재 확충, 교수진 충원, 고급 인력 확보를 위한 석박사급 인재 양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하지만 첫단추를 꿰는 것 조차도 삐걱거리니 업계에서는 인력부족으로 인한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염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발빠른 대응 필요

대기업들의 경우 이미 반도체 사업에 대한 투자는 물론, 관련 인력 확보에도 총력을 다하고 있다.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는 AI와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SK ICT 커리큘럼'을 시행하여 온라인 교육플랫폼을 구축하고 대학 맞춤형 특강을 개설한다. 

이를 위해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과 업무협약을 맺어 기업 방문 투어, 진로 상담 등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KT는 해외 기술 의존도가 높은 AI반도체 분야의 자체 기술력 향상을 위해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 리벨리온에 3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였다.

이처럼 현장에서의 인력 충원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관련 시장이 급박하게 움직이는만큼 정부 차원에서도 발빠른 대처가 필요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