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방황하고 있었다’ 내가 내려야할 결정 앞에서[박창욱이 전하는 글로벌 성장통](24)
상태바
‘아직도 방황하고 있었다’ 내가 내려야할 결정 앞에서[박창욱이 전하는 글로벌 성장통](24)
  • 뉴스앤잡
  • 승인 2020.07.17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에서 끝인 줄 알았던 방황, 해외 직장에서 극복한 사례

처음 받은 김민지 주임(가명, 인천대 물류학과)이 보내온 스케치 글의 제목이었다. 제목이 심상치 않아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읽어가니 방황을 극복한 성장통이라 마음이 놓였다. 김주임이 겪었던 일은 입사 1년차가 작업물량이 90%나 급감하는 상황에서 외주 협력업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애썼던 이야기이다. 다행히 3개월이 지나며 수주, 생산이 회복되며 한숨을 돌린 믿기 어려운 사례이다.

김주임은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한국의 글로벌 신발제조회사에서 근무중이다. 글로벌 브랜드의 신발을 생산자개발방식(ODM)으로 제조, 공급하는 ‘KH사(가칭)’이다. 직원수는 2만명 규모이며 한국인 직원은 50여명이다. 작년 7월에 입사하여 구매, 자재부의 매니저급으로 신발제조공정의 핵심인 합포자재와 외주관리 업무를 맡고 있다. 부하 직원은 약 400명이며 전원 현지인이다.

1년간의 GYBM연수과정을 마치고 작년 7월에 입사하여 6개월여가 되는 시점인 금년 1월에 들면서 최악의 위기상황을 맞았다. 수주가 감소되며 작업량이 10분의 1가량으로 줄어들었다. 미국, 유럽 등의 소비가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생산량이 줄면 외주업체는 인건비 부담이 커지는 고충을 호소하였다. 영업 절벽의 상황으로만 돌리며 설득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발주를 중단하면 쉽겠지만 향후 반등할 가능성을 생각하면 외주업체의 생존과 유지라는 큰 위기에서 김주임은 방황하는 대학생 때의 모습을 보고 있었다. 어릴 때부터 꿈꿔온 해외취업 현장에서 아무 손도 못쓰는 무책임하고 무기력한 모습이었다.

그래서, 본인 업무의 핵심인 신발 합포업무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여러가지 자재를 합쳐 하나의 자재로 만드는 공정인 합포는 기본 자재를 협력업체로 보내는 것부터 시작이 된다. 기존 방식대로 만들어 보내니 협력사도 동일하게 가동이 되었다. 유심히 지켜보며 현지인 담당자들과 수차례 머리를 맞대며 논의한 결과, KH사가 야간 특근을 없애 비용을 줄이는 만큼 외주업체 작업물량을 배정하면 공존할 수 있겠다는 결론이 섰다. 생산 중단에 대한 야간 작업조의 동의를 구했다. 상사에게 보고하고 승락을 받았다.

회사내 야간 작업조를 없애고 사내 합포와 5개 회사의 외주 합포를 동시에 진행해 나갔다. 3개월이 지난 7월이 되니 코로나19의 보복소비심리로 오더가 증가하여, 이전의 생산시스템으로 빠르게 돌아갈 수 있었다. 만일 3개월 전의 결정이 없었다면 회사는 특근수당의 부담이 컸을 것이고 외주업체는 고정 인건비의 부담으로 자칫 파산까지 이어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시스템이 붕괴된 상황에서 수주가 회복되었으면 더 크게 낭패당했을 아찔한 순간이었다.

뭔가 해야 할 상황에서 난관을 극복하고 이룬 성취는 많은 교훈을 주었다. 본인의 말을 그대로 옮겨본다.
“앞으로도 이런 결정적인 순간은 수없이 다가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기 앞에서 무엇보다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중요했습니다. 회사의 위기에서 주저앉으면, 제 인생의 방향성까지 흔들리는 유쾌하지 못한 기억을 남길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마음 한 켠에는 감당치 못하고 도망치려고 하는 마음도 싹트고 있었습니다. 해외 직장생활을 만만하게 본 심리가 깔려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일개 신입사원이 외주생산 시스템과 운영에 변화를 주는 큰 결정을 한 경험은 흔치 않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위기 앞에서 방황하지 말고 기꺼이 받아들이며 좀 더 치열하게 고민하겠습니다. 이런 경험이 쌓이면 향후에 닥치게 될 더 큰 위기에도 좋은 결정을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짧은 시간의 성장이 대견해서 직접 통화로 몇 가지 격려를 해주었다.
“첫째 대학에서 공부한 물류전공이 큰 힘이 된 듯하다. 업무의 방향성이라는 프로세스에 충실한 공부를 한 덕분일 것이다. 둘째 협력업체나 현지인의 생존에 관한 걱정을 했다는 것만으로 고맙고 잘 배웠다고 생각한다. 연수기간 중에 보여준 김주임의 천성이 반영된 것이다. 셋째 방황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도전정신’이다. 방황을 넘어 도전을 수차례 하다보면 패턴이 나온다. 그 패턴을 몸에 익히기 바란다. 신발의 패턴이 그렇게 만들어졌을 것이다. 전세계의 신발 장인들이 수백 년간 방황하며 도전했기에 지금 내 손으로 생산한 신발, 내가 신고 있는 신발이 있는 것이다.”                                 

통화를 마치고, 글을 마무리하는 이 순간에 지금 한국에서 코로나19로 몸 사리며 안정적인 것만 찾는 한국의 청년들이 눈앞에 오버랩이 된다.
이제 열흘 후면 다음 기수의 연수가 시작된다. 좋은 인재 한 명을 키우면 본인 회사만이 아니라 수많은 협력업체도 살리고 현지인들에게도 일자리를 준다는 생각으로 앞으로 1년간 치열하게 도전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