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자기분석을 위한 다양한 도구, 애니어그램 [정경호의 셀프리더십](15)
상태바
객관적 자기분석을 위한 다양한 도구, 애니어그램 [정경호의 셀프리더십](15)
  • 뉴스앤잡
  • 승인 2024.05.09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객관적 자기분석을 위한 다양한 도구, 애니어그램

에니어그램(Enneagram)은 사람을 9가지 성격으로 분류하는 성격 유형 지표이자 인간이해의 틀이다. 그리스어인 에니어(ennea: 9, 아홉)와 그라모스(grammos: 도형)의 합성어로 아홉 개의 점이 있는 그림이라는 뜻으로, 고대 중동인들의 지혜인 이 에니어그램을 구지예프가 1세기 경 서구에 전하였으며, 1960년대 정신과 의사였던 볼리비아 밀교의 이하죠가 에니어그램의 기본적인 원형을 개발, 미국으로 가져왔으며, 이를 리소가 현대심리학과 접목시켜 개발하였다. 구지예프와 이하죠가 에니어그램을 대중적으로 전달하였다면 리소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여 성격유형을 개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에니어그램의 아홉 개의 점들은 각각 독특한 성격을 의미하는데 1은 개혁가(합리적, 원칙적, 준법성, 독선적), 2는 조력가(보살핌, 관대, 소유욕, 주종력), 3은 선동가(성취자: 자기만족, 야망, 자아도취, 적개심), 4는 예술가(창의성, 직관력, 자기몰두, 우울증), 5는 사색가(지각력, 독창성, 괴팍함, 공포심), 6은 충성가(호감, 책임감, 의존적, 자학증), 7은 낙천가(열정적, 성취지향, 다혈질, 조울증), 8은 지도자(자기확신, 결단성, 지배적, 투쟁적), 9는 조정자(포용력, 위안, 수동적, 무관심)의 중심 특성을 가진다.

이들 아홉 개의 성격 유형은 크게 세가지 힘의 중심으로 나누어진다. 가슴(감정)중심, 머리(사고)중심, 그리고 장(본능)중심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은 각기 세 개의 성격유형으로 이루어져 각 힘의 중심의 장점과 경향성을 갖는다. 에니어그램에 의하면 우리의 성격은 정적이지 않다. 우리의 심리적 성장과 퇴보에 따라 에니어그램의 숫자가 자신의 기본 성격유형에서 통합의 방향으로 옮겨가기도 하고 퇴보(분열)의 방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참고적으로 자신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에니어그램 테스트는 인터넷상에 ‘에니어그램 테스트’라고 입력하면 무료로 검사.확인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보기 바란다.

<애니어그램 9가지 유형의 핵심>

1. 완벽주의자

이들은 바르게 살고 자신과 남이 더 가치있는 인간이 되도록 힘쓰고 화내지 않으려는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

2. 돕고 싶어하는 사람

이들은 사랑받고자 하고 고맙다는 말을 듣고 남에게 좋은 감정을 표현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 보이지 않으려는 욕구에 의해 행동한다.

3. 성취욕이 강한 사람

이들은 생산적이고 성공적이고 실패하지 않으려는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

4. 낭만적인 사람

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또 이해받고 사람의 의미를 찾으며 평범한 것을 거부하려는 욕구에 의해 행동한다.

5. 관찰을 좋아하는 사람

이들은 세상 모든 것을 알고 이해하며 자기만족을 추구하고 혼자 있고 싶어하며 대책없고 어리석은 인간으로 보이지 않으려는 욕구에 의해 행동한다.

6. 호기심이 많은 사람

이들은 타인의 동의를 얻어내고 보살핌을 받고 반항적으로 보이지 않으려는 욕구에 의해 행동한다.

7. 모험심이 많은 사람

이들은 유쾌하게 지내고 재미난 일을 계획하고 세상에 기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

8. 주장이 강한 사람

이들은 자기 자신을 믿고 강해지고 세상에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약해지지 않으려는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

9. 평화주의자

이들은 평온을 유지하고 타인과 융화하고 어떤 충돌이든 피하려는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