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성요인도는 용어 그대로 특정 사실의 결과에 각 요인이 어떻게 관계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나타낸 그림으로서 현상 파악이나 문제 개선에 대한 실마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다. 특성 요인도는 그 모양이 물고기 뼈와 같다고 해서 물고기 뼈 도표(Fishbone Diagram)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면 갖가지 요소가 교차해 어떤 요소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명하게 판단하기가 곤란하다. 이런 경우 특성요인도를 적용하면 서로 요소가 어떻게 관계를 갖는지를 체계적으로 표현해 원인과 결과의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1) 장점
특성요인의 장점을 살펴보면 어떠한 사실의 특성과 요인을 쉽게 알 수 있다.
ㆍ결과에 대한 원인의 관계가 명확
ㆍ문제의 원인 발견이나 대책 수립이 용이
ㆍ세분화 때문에 각각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 가능
ㆍ문제에 대한 초점이 명확
ㆍ세부적인 문제의 실마리 해결이 용이
ㆍ조사나 실험을 할 때 항목의 선정이 용이
ㆍ특성요인도를 작성하는 그 자체가 논리적인 교육 효과 등
(2) 실습 진행방법
S1. 문제를 정한다.
S2. 브레인스토밍법을 실시하고 문제요인을 노출해 문제를 정리하고, 비슷한 내용을 모아서 분류한다.
S3. 문제를 오른쪽에 적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굵은 화살표(등뼈)를 기입한다.
S4. 등뼈를 향해 비스듬히 큰 뼈를 붙여 요인을 크게 4개에서 8개 정도로 분류해 큰 뼈의 위치에 기입한다.
S5. 큰 뼈에 대해 중간 뼈와 작은 뼈를 추가하고 세분화한 요인을 기입해서 완성한다.
S6. 누락된 요인이 없는지 점검하고, 큰 뼈의 요인이 중간 뼈와, 중간 뼈의 요인이 작은 뼈와 인과관계가 확실한지 점검한다.
S7.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인에 표시하는 순서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