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취업자 전년보다 19만 5000명 감소…2009년 5월 이래 최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한 고용 위기가 가시화 되고 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월 기준 취업자는 2660만 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 5000명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2009년 5월 이래 최대 감소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2월(49만 2000명 증가)까지만 해도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보인 고용 시장이 결국 고용 위기로 빠져드는 양상이다.
특히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은 서비스업에 집중됐다.
도매·소매업(-16만 8000명), 숙박·음식점업(-10만 9000명), 교육서비스업(-10만 명) 등에서 일자리가 크게 감소했다.
반면 농림어업(13만 4000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8만 2000명), 운수·창고업(7만 1000명) 등은 증가했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대면 접촉이 많은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한 반면, 코로나19로 운수·창고업 등 (고용이) 나아진 산업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임시근로자가 42만 명 줄며 1998년 12월(-44만 7000명) 이래 최대폭 감소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때와 버금가는 수준이다. 일용근로자도 17만 3000명 감소했다. 상용근로자는 반면 45만 9000명 증가했다.
자영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9만 5000명 감소했다. 이에 비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2만 4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8000명 증가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159만 2000명 줄어들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3만 6000명 늘었다.
취업자 수에 포함되는 일시휴직자 수도 급증했다. 지난달 일시 휴직자는 총 160만 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63.4% 증가한 126만 명으로 집계됐다.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83년 7월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통계청은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무급 휴직이 늘어났거나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연기된 영향으로 추정했다.
연령별 취업자 수는 60세 이상(33만 6000명)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20대에서는 17만 6000명이 감소해 가장 많은 변동 폭을 보였다. 이어 40대(-12만 명), 30대(-10만 8000명), 50대(-7만 5000명) 순이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1.9%포인트 떨어졌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5%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하락해 같은 달 기준 2013년(58.7%)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4%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2016년(65.2%)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다.
인구 증감이 반영된 고용률 역시 60대 이상(0.8%포인트)을 제외하고 20대(-3.0%포인트), 30대(-0.1%포인트), 40대(-0.7%포인트), 50대(-1.2%포인트) 등 모든 연령층에서 고용률이 하락했다. 40대 고용률은 전년 대비 26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692만 3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1만 6000명 늘었다. 이런 증가 폭은 2009년 5월(58만 7000명) 이후 최대다.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4.4%로 1년 전보다 1.8%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통계를 작성한 2015년 1월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6.6%로 1.5%포인트 올랐다.
취업준비자는 81만 3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 8000명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58만 2000명으로 지난해보다 4만 4000명 증가했다.
은 국장은 “향후 고용 전망이 쉽지 않지만, 정부가 여러 정책을 통해 고용 충격을 완화하려고 노력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다음 달에는 그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음 주 고용안정 패키지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대책에는 고용유지대책, 실업 대책, 긴급일자리·새로운 일자리 창출 대책, 사각지대 근로자 생활 안정 대책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