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1 면담은 팀 리더십의 핵심요소 [유경철의 인재경영](112)

2025-03-12     뉴스앤잡

[Case Study]

처음 리더로 승진한 이 팀장은 좋은 성과를 내고 싶었다. 팀원은 5명으로, 오랜 기간 한 팀으로 일해 온 선임과 팀원 2명, 새로 발령받은 팀원 2명이 있다. 이 팀장은 스스로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고 하루에도 2~3차례 전체 면담을 진행하면서 위에서 내려온 지시사항이나 정보를 팀원들에게 자세히 전달했다. 이 팀장은 전체 팀원이 모였을 때 공통된 메시지를 전달해야 오해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360도 다면평가에서 이 팀장은 ‘팀원들 각자의 상황을 배려하거나 제대로 듣지 않고 독단적으로 업무를 추진한다’는 평가를 받고 적지 않은 충격에 빠졌다. 정보를 공유하고 팀원들과 합의해서 업무를 진행했는데 뒤통수를 맞은 것 같았다. 이 팀장은 앞으로 회의와 면담을 어떻게 진행해 나갈지 고민이다.

 

[HBR 리더십 솔루션]

1대1 면담을 위한 리더의 행동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특임교수 스티븐 로겔버그(Steven G. Rogelberg) 는 수십 년 동안 1,000명의 지식노동자, 1대1 면담을 경험한 250명의 리더, 포춘 100대 기업의 최고 리더 5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뛰어난 리더는 개별 미팅에 대해 어떠한 부담도 갖지 않았고, 업무관리를 위해 당 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여겼다. 이들은 자기가 중심이 되기보다 팀원들의 니즈와 현장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팀원들이 생각하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단기적으로는 팀원이 좋은 성과를 내도록 도와주고, 장기적으로는 성장에 필요한 지원을 했다. 스티븐 로겔버그 교수는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1대1 면담을 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 면담의 목적을 공유한다. 새로운 계획이나 업무의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다.

둘째, 개별 면담 시간을 골고루 배분한다. 어떤 팀원은 격주, 어떤 팀원은 매주 만나더라도 미팅의 총시간은 비슷하게 유지한다.

셋째, 면담은 1주에 1회 정도가 좋다. 대부분의 직장인은 주간미팅에 익숙하다. 주간미팅을 할 때는 다음의 방법을 참고하자.

① 1대1 면담 분위기를 조성한다. 전화나 메신저, 이메일보다 1대1 면담을 통해 팀원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대화를 한다.

② 리더는 말을 많이 하기보다 경청하는 것이 좋다. 팀원의 50~90%는 말하는 것을 좋아하므로 팀장은 잘 듣는 모습을 보여주면 된다.

③ 유연하게 대응한다. 대화가 잘 풀리지 않는다면 다음 어젠다로 넘어간다. 그리고 시간을 두고 더 깊이 대화하는 것이 좋다.

④ 기록을 통해 실행력을 높이자. 미팅을 하고 나서 요점을 정리해 문서로 작성해 놓으면 실행 가능성이 더 커진다. 1대1 면담은 단순한 미팅이 아니라 팀원들이 성장해 가는 과정이다. 리더는 오랜 시간에 걸쳐 팀원을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

⑤ 마무리를 잘하자. 진정성을 느낄 수 있도록 1대1 면담을 스케줄에 맞춰서 시작하고, 끝낼 때는 고맙다는 인사로 마무리한다.

 

[리더십 인사이트]

리더십 베스트셀러 작가 존 맥스웰(John C. Maxwell)은 팀 리더십의 핵심요소로 1대1 면담을 강조했다. 그는 “리더는 1대1 면담을 통해 구성원들과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구성원의 역량을 개발하며 조직의 성과를 향상할 수 있다.”고 말한다.

1대1 면담을 꺼리고 심지어 두려워하는 리더들도 있다. 특히 성과면담에서는 1대1 면담이 필수인데, 그때마다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리더들도 있다. 하지만 1대1 면담은 성과평가 기간에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상시적으로 성과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리더가 1대1 면담을 잘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1대1 면담의 내용을 미리 안내하는 것이 좋다. 리더가 갑자기 1대1 면담을 하자고 하면 구성원들은 긴장하기 마련이다.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다거나 새로운 업무를 내리려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따라서 1대1 면담을 하기 전에 ‘이런 내용으로 1대1 면담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을 공지한다.

둘째, 1대1 면담의 배경을 설명한다. 1대1 면담이 성과를 위한 소통과 이해를 높이는 중요한 일임을 알리고, 업무환경과 분위기가 좋아진다는 점을 알린다. 이를 위해 리더가 구성원의 업무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고, 적절히 지원하고 협력하고자 한다는 점을 말해 준다.

셋째, 1대1 면담은 자연스러운 업무 중 하나이며 언제든 상시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시키고, 너무 길지 않은 시간 동안 짧게 진행한다. 오랜 기간 리더들이 경험한 바에 의하면, 긴 면담은 상대방을 지치게 하고 다음번 1대1 면담에 대한 부담감을 키운다.

1대1 면담은 구성원에게 리더의 영향력을 진정성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어려워하거나 피하지 말고 구성원과 함께하는 시간을 자주 만들면, 구성원과 리더가 함께 성장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