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에게서 배우는 21세기 창조적 리더십 [정경호의 셀프리더십](32)

2025-01-30     뉴스앤잡

세종때에는 창의적 인재가 많았다. 왜 이 시대에만 유독 많은 창의적 인재가 쏟아진 것일까? 결론은 리더의 창조 습관에 있다. 리더가 나서서 창조를 한다는 말이 아니다. 주위를 창의적이 되도록 하는 리더의 사고 습관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세종때에만 인재가 특별히 많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세종이라는 임금만의 창조 습관이 당시의 사람들을 창의적으로 변모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면 리더의 창조 습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여기서 정답이라고 하는 것은 무척 어렵다. 그래서 반대로 질문을 해보자. 리더의 창조 습관은 어떤 경우에 사라지는가? 바로 상자사고를 할 때다. 우리는 누구나 보이지 않는 상자 같은 것을 머리에 하나씩 이고 산다. 이것은 투명하다. 그래서 마치 아무것도 이고 있지 않은 것처럼 느끼지만, 실제로는 누구나 이것을 하나씩 이고 있다. 이 투명상자는 왜 생기는가? 자신의 경험 때문이다. 사람은 자신의 경험 밖으로 나가서 생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창의적인 사람은 바로 이 상자 밖을 볼 줄 아는 사람이다. 이런 리더가 있으면 국가나 기업의 창의성은 폭발한다.

도대체 보이지 않는 상자 밖을 무슨 수로 보는가?

세 가지 원칙이 있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원칙에 가장 능숙했던 사람이 바로 세종인 것이다.

1)지속적인 문제의식을 유지하라.

세종의 하루 일과는 특이했다. 오전 5시에 기상한 후 11시까지 한 일이 있었다. 바로 윤대다. 누군가와 돌아가면서 독대를 하는 거다. 영의정 또는 우의정 같은 고위층과 독대한 것이 아니다. 지금으로 치면 사무관 이하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점심을 먹고 오후 1시부터 3시까지는 경연을 했다. 신하들이 임금을 가르치는 자리다. 이때 특이한 방법을 사용했다. 나이 든 관료들과 집현전의 젊은 학자들을 동시에 참여시켰다. 무슨일을 하자고만 하면 거의 반대만 외치는 고위 관료들과 달리 젊은 학자들은 세상을 어떻게 볼까 궁금했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서 세종은 고위 관료와 젊은 학자 사이에 간극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게 바로 문제를 보는 눈이다. 간극은 곧 문제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저녁 10시에서 12시에는 구언 즉 백성으로부터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세종대왕은 지속적으로 문제를 찾아다닌 사람이다. 자신의 생각이, 그리고 당대에 통용되던 방법이 틀릴지도 모른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세종 즉위 후 수년 동안 나라는 가뭄에 시달렸다. 보통의 왕 같으면 아마도 기우제를 지내 자신의 부덕을 고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세종의 처방은 달랐다. 문제의 근원은 중국의 역법이 조선의 상황에 맞지 않으며 농사짓는 방법이 잘못된 데 있다고 생각했다. 전혀 다른 시각에서 문제를 본 것이다. 그 결과 그는 집현전 학자들에게 새로운 역법을 만들 것을 주문했고, 그 당시 관청의 노비였던 장영실을 등용해 하늘을 관찰하는 천문 기구를 만들게 하였다.

또한 농사직설이란 책을 짓게 하였는데 책의 내용은 전국 최고의 농부들의 노하우를 정리한 것이다. 가뭄이 극성을 부리던 강원도를 그는 수시로 방문하면서 농부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이렇게 다양한 사람을 통해 정보를 얻고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를테면 전라도 지역의 아무개가 농사를 기가 막히게 잘 짓는다는 말을 들었을 것이다. 이런 것을 모은 것이 바로 농사직설이다.

어떤 리더는 자신의 조직에 문제가 있다고 인정하는 걸 정말 싫어한다. 잘못된 상자사고다. 창의성이란 문제를 보는 사고에서 시작한다. 창조적 요동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없던 문제도 만들어 낸다.

그런데 문제를 싫어하는 상자 사고를 가진 사람들은 문제가 드러나면 주로 화부터 낸다. 이런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이 문제를 되도록 숨긴다. 당연히 기업은 집단적인 상자사고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문제는 숨겨야 할 대상이 아니라 드러내 해결하는 대상이다. 이것을 앞장서서 하는 사람이 바로 리더다.

2)반대의견에는 관용으로 다양성을 인정하라.

세종은 반대 의견에 무척 관대하였다. 역사상 세종때만큼 반대를 많이 한 신하들이 득실거리던 때도 없었을 것이다. 사소한 문제부터 큰 것까지 그는 온통 반대를 끼고 살았다. 그런데 그의 반대에 대한 관용은 거의 득도의 경지에 이르렀다.

한글 반포 후 최만리가 반대했을 때는 그 정도가 지나쳐 세종도 화가 났던 모양이다. 그런데 죄를 묻는 방식이 너무 가볍다. 하루만 상징적으로 옥에 가두고, 다음 날 빼주었다.

이런 일도 있었다. 우리가 가끔 듣는 말 중에 "참 고약한 사람이야!"가 있다. 일설에 의하면 세종조에 있었던 고약해(高若海)라는 신하 때문에 만들어진 말이라고 한다. 이후 반기를 드는 사람들을 세종은 "고약해 같은 놈"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실록에 의하면 고약해의 반기를 드는 정도가 꽤 지나쳤다. 눈을 부라리며 세종을 노려보고 보란 듯이 휑하니 나가기도 했다. 그래도 세종은 그를 대사헌이라는 자리까지 올려주었다. 그래야 다른 신하들도 용기를 내어 말문을 열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세종은 반대가 주는 다양성의 의미를 깊이 알고 있었다.

3)창조적인 갈등을 활용하라.

세종대상은 신하와 회의를 하면 꼭 싸움을 붙였다. 창조적 갈등을 조장한 것이다.

경연에서 고위 관료들은 대체로 "아니 되옵니다"를 외쳤다. 집현전 학자들은 "해 봅시다"라고 우겼다. 세종은 어느 한쪽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 왜 안 된다고 하는지, 그리고 왜 해볼 만하다고 하는지, 그래서 이 둘을 통합할 방법은 없는지를 고민했다.

창의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 구성원들이 창의적일수록 당연히 좋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리더의 창조적 습관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