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적합성은 업무 전문성이다 [윤영돈의 AI채용](22)

2024-08-26     뉴스앤잡

지식과 기술의 양은 측정하기가 편리하다. 직무에 관한 지식을 측정하는 것은 객관식 시험으로 판별할 수 있지만, 인지력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은 알아내기 쉽지 않다. 채용에서 전문성이라는 항목은 직무 적합성의 바탕이 되며 문제해결능력과 직결된다. 문제해결능력은 기업이나 공공기관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이다.
채용 준비 방법은 자신이 원하는 직무 관련 설명자료를 통해 그것이 자기 적성과 일치하는지를 파악하여 직무를 고른다. 직무 관련 설명자료를 바탕으로 파악된 능력 중 부족한 요소는 학습 활동 등을 통해 높인다. 적합한 요소는 유지 또는 더 높여 자신만의 강점이 되도록 관리한다.

 

서류전형에서 공고된 ‘직무 관련 설명자료’를 기반으로 모집 직무별로 요구되는 내용을 기입한다. 지원자의 교육 이수 내용, 자격 사항, 경험 및 경력 사항 등이며 직무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연결해야 한다. 직무 관련 설명자료를 바탕으로 직무와 관련된 학교 교육, 직업교육, 기타교육 등 지원자가 이수한 교육을 쓴다. 채용공고문 또는 ‘직무 관련 설명자료’에 제시된 자격 현황, 지식, 기술 등을 토대로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공식화된 능력을 적는다. 경력은 금전적 보수를 받고 일정 기간 일했던 경우, 경험은 금전적 보수를 받지 않고 수행한 활동을 말한다.


직무능력소개서는 경력 혹은 경험을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을 통해 기술한다. 만약 작성된 자기소개서를 각 직무능력에 맞게 수정해달라고 챗GPT에 요청하면 문맥이 다소 달라지며 자신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줄거리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제해결능력에 맞춰서 자기소개서 내용을 바꿔줘’라고 명령하면 이대로 바꿔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해서 글을 다듬을 수만 있다면 더 완전한 자기소개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