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관리를 위한 조직구조와 업무 특성에 대한 이해 [박준우의 인재경영](32)
필자는 지금까지 인사(人事)를 ‘사람(人) + 일(事)로 구성된다고 이야기 해왔다. 팀장 등 단위 조직의 관리자나 조직 장들은 조직관리를 위해서는 사람에 대한 이해, 특히 사람들의 마음과 사람들간 관계와 이러한 사람들간 관계가 만들어낸 ‘관행’이나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인사관리 대상의 특성인 ‘복잡성’에 대해 세대, 성, 직급, 직종 등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왔다.
단위 조직의 장들은 구성원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신이 책임지고 있는 조직의 구조나 업무 특성 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조직구조와 업무 특성이 조직관리에 미치는 영향도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직구조나 업무 특성 등 환경적 요소에 대해서 ‘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팀은 기능별 팀, 프로젝트성 팀, 프로세스 중심 팀 등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팀 유형별 특성은 다음 그림과 같다.
기능별 팀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팀 단위 조직의 책임과 권한이 주어지고, 명확한 개인별 직무 정의 및 업무 분장이 명확해야 하며, 개인별 업무 지원 및 개인 단위 성과 관리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팀의 관리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이 집중적인 문제해결을 하는 상황에서는 연결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연결역은 정보와 전문지식의 근원이자 여러 기능이 관련된 업무의 조언자 역할과 함께 기능별 이해관계 충돌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프로젝트 팀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팀 단위 조직의 책임과 권한이 주어지고, 팀장의 Leadership 및 상호협조와 몰입형팀 문화가 형성되어야 하며, 팀 단위 성과 관리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팀의 관리자는 특정 고객, 제품, 시장 또는 문제에 집중하도록 설계된 팀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서 조정 활동을 수행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등 각 팀원들의 갈등이나 대립 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 팀원들의 업무간 의존성이 크기 때문에 한명이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의 문제로 확산된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프로세스 중심 팀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팀 및 개인의 명확한 과업 정의와 분장이 되어야 하며, 개인과 팀이 혼합된 형태의 성과 관리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팀에서 팀장의 역할은 공통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전체적인 경영관리 시각을 지닌 관리자 역할이다. 즉, 전문지식, 대인관계 능력, 팀 운영기술, 갈등 해결 기술을 통해 팀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조직장이 조직관리를 위해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신이 책임을 맡고 있는 조직구조, 업무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조직 구조와 업무특성에 따라 조직 장이 갈등이나 대립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거나 조정자 역할을 하거나 연결자 역할에 한정되는 등 역할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관리자들은 자신들의 팀이 어떤 구조와 업무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