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킬 미스매치 (Skills Mismatch)의 의미 [김진실의 스킬즈퓨처](2)

2024-07-02     뉴스앤잡

스킬 미스매치라는 용어는 복합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스킬 미스매치는 일자리의 과부족, 전공과 자격과 같은 질적 미스매치, 기대수준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 내릴 수 있다(문한나 외, 2021). 학문적으로 스킬 미스매치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McGuinness 외, 2018). 먼저, 수직적 미스매치가 있다.

근로자의 스킬이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을 때 스킬과잉(Over-Skilling, 예, 학력과잉), 낮을 때 스킬부족(Under-Skilling,예, 학력부족)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수평적 미스매치가 있다. 주로 자격(qualification) 또는 전공(field-of study)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셋째, 스킬 부족 일자리(Hard-to-fill vacancies)로 고용주 입장에서 봤을 때 구직자의 스킬 부족 때문에 채용이 어려운 일자리를 의미한다. 넷째, 스킬 갭(skill gap)으로 고용주 입장에서 현재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숙련과 비교했을 때 숙련의 부족과 과잉을 의미한다. 기타 스킬 노후화가 있다.

스킬 미스매치와 관련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구조적인 문제는 한 분야만의 대책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며 경제·산업·노동 및 교육 분야까지 포괄하고, 계층별·수요자별 요구사항도 종합적으로 반영된 대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먼저,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는 노동수요 측면으로 경제의 고용창출력이 저하되어 있고, 노동공급 측면으로 중장기 노동공급이 부족하며, 노동시장 특성 측면으로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는 고용이 과부화된 반면에, 많은 중소기업에서 기간제 근로자를 선호하고 있어 고용증대를 어렵게 하고 있다.

둘째, 교육훈련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는 산업수요와 괴리된 인력양성, 현장요구반영이 미흡한 교육훈련프로그램, 양성 인력의 질 관리 체계 미흡, 지속적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체계가 미비하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해결방안으로 산업기술변화에 따른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 교육과 연구의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청년층·여성·중고령층 인적자원개발 및 활용 증대, 진로·직업 기반 기초교육 확대,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과 성인의 평생직업능력개발 참여 확대 등이 제기된다.

셋째, 자격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경력개발보다는 입직형 중심의 자격, 현장의 연계미비, 자격종목·취득자·검정기관 질 관리 체계미비, 직업자격과 유관자격간, 자격종목간 종적·횡적 연계가 미비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