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쉴래요! 일도 구직도 안해요"…쉬는 청년 40만명 육박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청년이 9개월 만에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의 '쉬는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 대책이 이어졌지만, 이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39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3000명 늘었다.
'쉬었음'은 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이다. 이들은 5월 기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2020년(46만2000명)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전체 청년인구에서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만에 4.6%에서 4.9%로 뛰었다. 청년 인구가 줄었음에도 '그냥 쉰' 청년은 늘어난 영향이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동월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감소 폭은 지난 3월부터 축소됐다.
'쉬었음' 인구 중 청년들 직장 경험이 있는 이직자들이 많지만, 적성이 맞지 않거나 오래 쉬면서 구직 의욕이 낮은 경우가 많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지난해 줄어든 '구직 단념' 청년이 올해 다시 증가세인 이유다.
취업능력은 있지만, 임금 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단념자'도 늘었다. 지난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전년동기(10만8525명)보다 1만1000명 늘었다.
이같은 청년 고용시장의 활력 저하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고착화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을 위해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는 △청년 인턴 확충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집단·심리 상담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않는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최근 수출 중심 경기 회복세에도 성장을 주도하는 반도체 산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낮은 탓에 양질 일자리 증가세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는 평가가 많다. 확산하는 대기업의 경력직 채용 기조도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주저하게 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팬데믹 이후 고금리에 따른 투자 위축 영향으로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줄었다"라며 "이런 상황이 상용직 취업자 감소, 청년들의 구직 의욕 상실 등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