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사무총장 아들 `세자`라 부르며 면접 만점 처리"...채용 비리 심각
'아빠 찬스'에 채점표 조작·지자체장 압박, 계획적 증거 인멸 10년간 채용 규정위반 291회 1200여건 확인…특혜 9건 색출 감사원 "충격적, 선관위 내 불감증 만연"
감사원이 김세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장관급)과 송봉섭 전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차관급)을 자녀 특혜채용 혐의로 선거관리위원회 고위직 인사와 이에 관여한 실무진 등 27명을 검찰에 수사요청했다. 감사원은 선관위 내부에서 채용이나 인사 관련 법규를 무시하는 일이 관행화돼 있다고 지적했다.
선관위 고위직 자녀 특혜 채용 의혹이 불거진 뒤 감사원은 선관위의 조직과 채용, 인사운영 전반을 점검했다. 특히 2013년 이후 실시된 경력경쟁채용 사례를 전수조사한 결과, 모든 회차에서 규정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고 밝혔다.
선관위가 수사요청한 특혜 채용 사건은 모두 9건으로, 수사요청된 인사 27명 중 9명이 자녀 특혜 채용을 요청했던 고위직 직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채용 담당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는 등의 방식으로 자녀 채용을 청탁했고, 이에 채용 담당자는 각종 편법을 동원해 청탁 대상자들을 합격 처리했다고 감사원은 봤다.
특혜 채용을 위해 지역 선관위 채용 인원을 임의로 늘리거나, 채용 대상자가 보유한 조건을 우대 요건으로 면접에 적용하는 등 공정성이 훼손된 사례가 적발됐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선거 업무 담당자가 특정 지자체 공무원을 특혜 채용하기 위해, 지자체장에게 해당 공무원 전출 동의를 받아줄 것을 청탁하는 등 선거 관리 권한을 남용한 정황도 포착했다.
감사원은 선관위 고위직부터 중간 간부까지 본인의 자녀 선관위 채용을 청탁하는 행위가 빈번했고, 선거철 경력경쟁채용은 직원 자녀들이 손쉽게 입직할 수 있는 통로로 이용돼 왔다고 강조했다.
감사원은 특혜 채용 이외에도 근태 관리를 부실하게 하거나, 법령에서 정한 내부 감사를 실시하지 않는 등 선관위 내 기강 해이 사례가 확인됐다며, 내부 의결을 거쳐 신속히 최종 감산 결과를 확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