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의 정의를 만나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곽동근의 에너지스타](2)

2021-12-16     뉴스앤잡

미국의 시인이자 사상가였던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은 「무엇이 성공인가?」라는 그의 시 첫 구절에서 성공을 깔끔하게 정의한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이것이 바로 성공이라고 한다. 이루고 싶은 것, 갖고 싶은 것을 다 얻은 다음에 웃는 것이 아니라, 오늘 지금 이 순간순간마다 자주 웃고 많이 웃으며 살면 성공하는 것이라는 이야기. 정말 마음에 드는 성공의 정의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이 성공이라면 당신은 오늘 이 시간까지 얼마나 성공 했을지 궁금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많이 웃고 살 수 있을까? 『우리 서로 행복 할 수 있다면』(용혜원 저)이란 책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길을 가던 나그네가 흙을 하나 발견했는데, 아주 좋은 향기가 나는 흙이었다. 너무도 신기해서 나그네는 흙에게 물었다. “아니 흙아! 너에게서 어떻게 이런 좋은 향기가 나는 거니?” 그러자 흙이 대답했다. “제가 장미꽃과 함께 있었거든요.” 성공의 정의를 만나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아하! 하나를 배웠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고 사는 첫 번째 방법. 잘 웃는 사람들과 함께하라. 그러면 그 웃음의 향기가 나에게도 밸 것이 분명하다. 웃음 향기를 퍼뜨려라. 장미를 건넨 사람의 손에선 장미향이 나는 법이라 하지 않던가! 내 주위에 잘 웃는 사람은 누가 있을까? 당신이 가장 잘 웃는 사람일까? 누구와 함께 어울리면 좋을까? 당신 주위의 분위기 메이커를 찾아내고 그와 친해져라. 내가 잘 웃는 사람이라면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그들에게 웃음의 에너지를 전파하라.

성공은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이라고 했는데, 과연 웃음이란 무엇일까? 내 강의를 들은 수강생들이 웃음에 대해 말한 내용을 한번 살펴보자.

웃음은 행복 바이러스다. 웃음은 눈물 나는 사랑의 향이다. 웃음은 가장 소중한 표정이다. 웃음은 황홀한 삶인 동시에 영혼의 무한한 에너지다. 웃음은 행복의 증거이자 기쁨이다. 웃음은 집안의 햇살, 사랑의 나눔, 몸과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 웃음은 기운이 위로 솟구치는 향기. 진정한 행복을 찾는 지름길. 웃음은 한결같은 활력소. 행복을 만들어 주는 제조기. 웃음은 행복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 세상을 살아가는 원동력. 웃음은 영원한 청춘.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의 희망. 천국이다. 웃음은 세상에서 가장 영양가 있는 비타민. 우리 모두의 빛. 웃음은 당신의 열정. 힘이다. 웃음은 나와 너를 가깝게 해 주는 최고의 기술이다.

웃음이 이렇게 대단한 것이었다니, 당신에게도 그런가? 그런데 어째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잘 웃지 않고 사는 것일까? 보통 70년을 산 사람의 시간을 여러 가지로 분류해 보면, 70년 중 23년은 자는 시간이다. 그리고 일하는 시간은 26년, 화장실에서 보낸 시간이 3년 반이고, 거울 보고 화장하는 시간이 1년 6개월 정도라고 한다. 그리고 무언가를 타고(자동차, 버스, 택시에서 배, 비행기까지! 유모차도 포함인가?) 평생에 걸쳐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6년이고, TV 보는데 7년(TV 리모컨 찾는 데는 평생 얼마나 걸릴까?), 약속 장소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며 보내는 시 간이 3년이나 된다고 한다. 그뿐 아니라 요즘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도 많기 때문에 이것도 따져보면 어마어마한 시간을 쓰는 것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살면서 웃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하루에 열 번을 웃는다고 해도 놀라지 마시라. 겨우 40일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마다 조금씩 수치가 다르긴 하지만, 모두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같다. 바로 웃는 시간이 적어도 너무 적다는 사실이다. 화내는 데도 인생의 시간을 합쳐 보면 약 2년 반을 사용한다는데, 어째서 고작 40일만 웃는단 말인가? 자, 성공 공식을 잊지 않았겠지? 웃음도 배워야 한다.

가짜, 억지웃음을 유도하면 어떻게 될까? 웃음이 나온다. 어색한 웃음이… 그러다 자연스러운 웃음이 나오기도 하지만 어색해 하고 뻘쭘해 하고 ‘이게 뭐야?’하는 표정들을 보게 된다. 그래서 나는 남다른 생각을 했다. 어차피 웃음이 좋은 거라면 많은 사람들이 어색해 하는 가짜나 억지웃음을 빼고,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웃을 수 있는지 연구하자는 생각을 했다. 성공은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