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공정비사로 취업하려면? [허헌의 항공뉴스](7)
항공 정비란 항공 안전법 제 32조의 규정에 의거해 확인을 하는 행위이다. 항공기의 종류와 정비 방식을 통해 업무 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보통은 현장에서 관리와 감독을 하며 기술지시 및 지휘 감독을 하는 엔지니어 파트와 직접 현장에서 비행기를 수리 및 점검하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항공 정비는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기 위한 행위이다. 그리고 항공 운송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감항성, 정시성, 쾌적성, 경제성을 충족시킨다는 목적을 가진다.
항공 정비는 크게 세 가지로 기관, 기체, 전자전기팀 등으로 세분화되어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1. 기관
엔진 내부 오일의 양을 체크하고, 보충하고, 혹 엔진이 이상 작동을 하게 되면 기관을 기체에서 분리하여 공장으로 보내고, 정상적인 기관을 장착하는 등의 기관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2. 기체
작동면의 작동 검사 및 유압 체크, 랜딩 기어의 관리, 기체 외피의 비파괴검사, 기체외피 체크 등, 기관과 전자적 장비들을 제외한 기체의 모든 부분을 제대로 작동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3. 전자, 전기
항공기에 들어가는 전자적 장비, 전자 계기의 유지를 담당하며 기내의 모든 전자 장비를 유지, 보수한다고 보면 된다.
국내 항공 정비사로 취업하는 데 필요한 과정을 정리해 보면, 2년제 대학 또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뒤, 혹은 졸업 예정 시기에 항공사 공채에 지원한다. 2년제의 경우 항공 정비 관련 학과, 4년제의 경우 기계공학/항공/전기전자공학/산업공학 등 관련된 분야의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국내 2년제 대학교로는 국제항공직업전문학교, 한서항공직업전문학교, 인하항공직업전문학교,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한국항공직업전문학교, 한국과학기술직업전문학교, 한국에어텍항공직업전문학교, 에이스항공직업전문학교가 있으며 실무중심의 항공 정비를 교육하고 있다.
물론 4년제 대학들도 항공 정비학과가 있다.
다만 20년 9월에 법이 바뀐 이후, 국토부 지정 전문 교육기관이 아니라면 면장취득이 힘들어지니 대학을 간다고 하면 될 수 있는 한 전문 교육기관을 가는 것이 좋다. 현재 항공 정비사 전문 교육기관 지정을 받은 4년제 대학은 지정순서대로 한서대학교, 경운대학교, 신라대학교, 극동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호원대학교, 세한대학교, 창신대학교, 서울문화예술대학교 등이 있다.
위 학교들을 졸업하고 메이저 항공사의 경우 토익점수 750점 이상, LCC는 600점 이상의 토익 점수를 필요로 하므로 취득하면 되겠다.